네이처에서 선정한 올해 최고의 과학사진들
국제학술지 네이처가 과학 분야에서 주목받은 올해 최고의 과학 사진을 선정해 발표했습니다.
![](https://damdaworld.com/files/attach/images/w/137/846/831/003/c1e8026d62447625fb9375640df323df9a1b032a.webp)
거북이 등에 올라탄 갈매기를 찍은 사진 ‘합승'은 오랫동안 바다를 헤매다 포착한 장면이다. 2024년 올해의 해양사진 공모전에서 최종 후보에 오른 작품이다. 사진작가가 지중해에서 몇시간 동안 해양생물을 물색하던 중 순간포착했다고 한다.
![](https://damdaworld.com/files/attach/images/w/137/846/831/003/6fe2fb38a67b9e744ee29840ad22936cfae11c9e.jpeg)
황제펭귄 새끼들의 첫 모험도 최고의 과학사진으로 뽑혔다. 생애 처음으로 먹이 사냥을 위해 15m 높이의 남극 빙붕에서 바다로 뛰어드는 모습이다. 2024년 1월 드론으로 촬영했다.
![](https://damdaworld.com/files/attach/images/w/137/846/831/003/58d330ce547643f9a2c6622d76f43480436c09fd.webp)
영국 솔즈베리 인근에 있는 신석기 시대의 거석 건축물 스톤헨지에서 페르세우스 유성우가 떨어지는 모습을 찍은 사진은 우주와 지구 문명을 절묘하게 연결해준다.
페르세우스 유성우는 지구가 매년 8월 스위프트-터틀 혜성이 남긴 파편 지역을 통과할 때, 입자들이 지구 대기와 충돌하면서 일어나는 현상이다. 유성우는 유성들이 마치 한 점에서 퍼져 나오는 것처럼 보인다. 이를 복사점이라고 하는데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복사점이 페르세우스 자리에 있다. 3시간30분에 걸쳐 촬영했으며 유성, 스톤헨지, 은하수 사진 43장을 조합해 완성했다.
![](https://damdaworld.com/files/attach/images/w/137/846/831/003/9bed0eda5427e773416d542f8474166cc32106f1.jpeg)
갑작스런 폭우로 수위가 불어난 강을 건너려다 하류로 떠내려가고 있는 치타 사진
케냐의 마사이마라국립보호구역에서 찍은 사진으로 빅픽처자연사진공모전 결선에 올랐다.
![](https://damdaworld.com/files/attach/images/w/137/846/831/003/72eebfeaad7bb506fd72dc174fc38fcfc3ff23b3.jpeg)
꽃 모양을 이루고 있는 박테리오파지 군집 사진(위)
박테리오파지를 배양해 증식시킨 뒤 고압 처리로 박테리아를 제거하고 탈수시키자 박테리오파지들이 꽃 모양의 3차원 군집을 형성했다. 파지를 형광처리해 현미경으로 들여다본 사진이다.
네이처에서 선정한 올해 최고의 과학사진들